티스토리 뷰

요즘은 은행을 가지 않고 모바일 또는 PC로 하는 인터넷뱅킹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계좌이체같이 간편한 서비스는 은행에 방문 없이 언제든지, 어디서나 가능해지고 편리했습니다. 그에 따라서 계좌번호, 입금금액을 잘못 누르는 실수가 많아졌는데요, 계좌번호를 급하게 누르거나, 금액을 잘못 눌렀을 때 등에서 식은땀이 쫙 나는 당황감을 느끼기 마련입니다. 착오송금, 계좌이체 실수 시 해결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착오송금이 발생하는 경우는?

다양한 경우의 착오송금 사례가 있는데요, 계좌번호 잘못, 상대방이 잘못 기재해준 계좌번호, 다른 은행으로의 입금, 수취인 미확인, 이중입금 등의 사례가 있습니다.

 

  1. 본인이 계좌번호를 잘못 누른 경우

  2. 본인이 송금금액을 잘못 누른 경우

  3. 상대방이 자기 계좌번호를 잘못 적어준 경우

  4. 상대 은행을 잘못 누른 경우

  5. 수취인을 확인하지 않은 경우

  6. 이중 입금을 한 경우

 

 

착오송금, 계좌 이체 실수 대처방안은?

1. 착오송금 발생 시 금융회사 콜센터에 연락하여 반환청구 신청을 접수합니다.
반환청구 절차를 진행하려면 이체 업무를 진행한 송금 금융회사에 접수를 해야 합니다.
이는 영업시간과 관계없이 신청이 가능하므로 착오송금 발생 즉시 신청합니다.

 

 

2. 착오송금이 이루어졌을 경우, 돈의 권리는 수취인에게 있습니다.
수취인이 돈의 권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수취인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은행의 경우는 이체된 돈을 허락 없이 취소하거나 반환을 시켜줄 의무가 없습니다. 
만약 수취인이 반환을 동의하였다면 1주일 이내로 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수취인이 동의를 하지 않는다면??

2019년 기준 착오송금 반환율은 45.9%에 불과합니다.

이럴 경우는 수취인을 상대로 부당이득 반환청구소송을 제기해야 하는데요.

소송을 제기하게 되면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착오송금은 예방이 최우선입니다.

1. 마지막 이체 버튼을 누르기 전, 다시 한번 정보를 확인하는 습관 가지기!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시 마지막 이체 버튼을 누르기 전에 수취 인명과 수취은행, 계좌번호, 금액을 다시 확인하는 습관을 들입니다.

 

2. 계좌이체 시 자주 쓰는 계좌나 최근 입금한 계좌 항목을 사용하면 착오송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뱅킹·스마트폰뱅킹 등 예전에 정상 이체한 계좌 수취인 정보 조회 기능과 자주 쓰는 계좌 등록 기능이 있습니다. 과거 송금정보나 등록해놓은 계좌정보를 충분히 활용해 오류 없이 송금할 수 있습니다.

 

3. 지연 이체 서비스를 통해 착오송금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수취인 계좌에 일정 시간 이후에 입금되는 지연이체서비스 최소 3시간 이후, 수취인 계좌에 입금이 되므로 잘못 송금 시 취소 가능한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습니다.

 

 

댓글